개인 프로젝트 #5 : Server(tomcat 9.0) 설치 & 설정(Eclipse)하기
Server 설치
필자는 Apache tomcat 9.0버전을 선택하였고, 9.0같은경우 8버전이상의 JAVA(JDK)를 사용해야한다.
버전별 특징으로는 JAVA, JSP 등 지원하는 범주에 차이가 있다. Apcahe tomcat 같은경우 교육용/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웹기능을 지원한다.
이상으로 10버전도 있지만 다양한경우 최신버전은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정보가 많이 없을것으로 예상되어 굳이 선택하지는 않았고, 개인적으로 최신 버전 연동이 필요한 경우라면 조사후 사용해보도록 하자.
[설치경로]
먼저 구글에 apache tomcat으로 검색하여 사이트 접속하자
제일먼저 보이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왼쪽의 배너는 고정으로 계속 노출되니 다운로드에서 자신이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고 다운받아준다.
[파일 선택]
OS에 맞게 압축파일 혹은 설치형 파일 다운로드
[Eclipse 설정하기]
서버를 다운받은 후에 eclipse에서 설정을 이어나간다.
perspective를 spring으로 설정 후 서버창을 확인하면 No Server... 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다. 만약 보이지 않으면 window- Show View - server를 클릭해 창을 띄울 수 있다.
해당 문구를 클릭하면 New Server라는 이름의 창을 확인 할 수 있고, tomcat vX.0을 클릭하고 Next를 눌러 설정을 이어간다.
그 다음엔 Browse를 눌러 사용하고자 하는 서버가 설치된 경로를 지정해준뒤 Finish를 누르자.
서버가 설치된 경로 지정
다음 서버가 잘 실행되는지 확인해보자. 먼저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(프로젝트)을 우클릭하면 아래 처럼 실행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데, 여기서 RunAs - Run on Server를 선택한다.
만약 해당 옵션이 보이지 않으면 Maven - updateProject로 업데이트를 실행하자. project를 외부로부터 import한 경우 해당 경우가 발생한다.
그 다음 팝업창은 어느 서버를 선택할지 선택하는 창인데, 서버가 한가지 밖에 없으니 바로 Finish를 눌러준다.
만약 서버가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아래처럼 spring의 기본 화면을 볼 수 있다.